방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. 당신의 작은 누름이 저에게 큰 희망이 됩니다.
time태그는 시간을 표시할 때 사용하는 태그입니다. datetime속성을 사용하며 datetime속성 값으로 날짜와 시간값을 입력합니다.
<time datetime="날찌 시간">표시할 내용</time>
예를 들어 오늘을 표현한다면 다음과 같습니다.
<time datetime="2021-02-26">오늘</time>은 시험을 보러가는 날이다.
<!DOCTYPE html> <html> <head> <meta charset="utf-8" /> <title>time 태그</title> </head> <body> <p> <time datetime="2021-02-26">오늘</time>은 시험을 보러가는 날이다. </p> </body> </html>
로그인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이제 위의 코드를 실행 할 수 있습니다.
로그인을 하면 PLAY CODE 버튼 클릭 후 광고없이 횟수제한없이 코드를 실행 할 수 있습니다.
LOGIN
위의 소스 실행 버튼을 눌러 실행을 해보면 결과를 알 수 있습니다.
사람이 보기에는 의미없지만 웹 사이트가 분석할 때는 오늘이 어떠한 시간을 의미하는지 알려줄 수 있습니다.
다음과 같이 활용할 수도 있습니다.
벌써 <time datetime="2021">2021년</time>이 되었다.
다음은 예제입니다.
<!DOCTYPE html> <html> <head> <meta charset="utf-8" /> <title>time 태그</title> </head> <body> 벌써 <time datetime="2021">2021년</time>이 되었다. </body> </html>
로그인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이제 위의 코드를 실행 할 수 있습니다.
로그인을 하면 PLAY CODE 버튼 클릭 후 광고없이 횟수제한없이 코드를 실행 할 수 있습니다.
LOGIN
위의 소스 실행 버튼을 눌러 실행을 해보면 결과를 알 수 있습니다.
이번엔 시간 초까지 표시해 보겠습니다.
형식은 다음과 같습니다.
지금은<time datetime="2021-02-26T03:56:01">2021년 02월 26일 03시 56분 01초</time>다.
다음은 예제입니다.
<!DOCTYPE html> <html> <head> <meta charset="utf-8" /> <title>time 태그</title> </head> <body> 지금은<time datetime="2021-02-26T03:56:01">2021년 02월 26일 03시 56분 01초</time>다. </body> </html>
로그인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이제 위의 코드를 실행 할 수 있습니다.
로그인을 하면 PLAY CODE 버튼 클릭 후 광고없이 횟수제한없이 코드를 실행 할 수 있습니다.
LOGIN
위의 소스 실행 버튼을 눌러 실행을 해보면 결과를 알 수 있습니다.
포스팅 글의 발행 날짜를 표시하려면 pubdate속성을 사용합니다. pubdate속성의 값은 pubdate입니다.
이 포스트의 발행일 : <time datetime="2021-02-26T03:56:01" pubdate="pubdate">2021년 02월 26일</time>다.
<!DOCTYPE html> <html> <head> <meta charset="utf-8" /> <title>time 태그</title> </head> <body> 이 포스트의 발행일 : <time datetime="2021-02-26T03:56:01" pubdate="pubdate">2021년 02월 26일</time> </body> </html>
로그인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이제 위의 코드를 실행 할 수 있습니다.
로그인을 하면 PLAY CODE 버튼 클릭 후 광고없이 횟수제한없이 코드를 실행 할 수 있습니다.
LOGIN
위의 소스 실행 버튼을 눌러 실행을 해보면 결과를 알 수 있습니다.
time태그에 대해 알아봤습니다. ^^
봐주셔서 감사합니다. 문의 또는 잘못된 설명은 아래의 댓글에 부탁드립니다.
당신의 작은 누름이 저에게는 큰 희망이 됩니다.
댓글 0개
정렬기준